Study
ping port(핑 포트)
메디츠
2024. 1. 27. 10:08
반응형
ping과 port 문제는 전혀 상관없음.
ping ICMP라는 IP 레이어 레벨의 프로토콜을 사용함에 따라 이보다 상위 레이어에 있는 TCP/UDP의 port와는 상관이 없음. 결국 default로 지정되는 포트는 없음.
ping의 주 사용처는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의 네트워크 경로, 대상 시스템의 IP 네트워킹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데 주로 사용. 만약 대상 시스템에 어떤 네트워크 서비스 가능 여부(서비스에 따라서 listen
정도)를 점검하고자 할 경우 telnet을 사용. 만약 웹서버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고자 할 경우
telnet <대상 호스트 IP> 80
리눅스에서 ping
#echo 1 > /proc/sys/net/ipv4/icmp_echo_ignore_all //ping 막기
#echo 0 > /proc/sys/net/ipv4/icmp_echo_ignore_all //ping 열기
포트의 개념은 TCP 헤더에서 씀. 즉, TCP/IP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경우에만 '포트'를 구분.
ping은 IP 헤더를 쓰긴 하지만, TCP가 아닌, ICMP 라는 프로토콜을 사용.
TCP/IP 패킷 : IP 헤더 + TCP 헤더 + 메시지
ICMP 패킷 : IP 헤더 + ICMP 메시지
TCP/I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웹, 텔넷, FTP 등의 서버는 특정 포트를 열어두고 대기해야 하지만, ICMP 프토토콜을 사용하는 ping의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음. 특정 ICMP 메시지에 대해서 응답하는 모듈만 가지고 있으면 됨.
반응형